본문 바로가기

복지

부동산,주택가격 폭등, 주택시장 연환계 부동산 가격, 주택 가격이 그 끝을 모르고 폭등하고 있다. 정책당국은 벌써 21번째 대책이라는데, 결국 시장은 또 튀고 있다. 필자는 부동산 시장의 실패에 대하여 많은 글을 게시했는데, 김현미 홍남기 등 당국자들이 투기꾼의 투기행위라 주장할 때, 벌써부터 시장의 실패이며, 그 시장의 실패 원인을 주택시장 정책믹스의 실패를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었다. 이름하여, 주택시장 연환계다.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그 주택시장 연환계가 주범이다. 주택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교란하는, 주택임대업 양성, 전세자금 대출 확대, 노후주택연금 등이 그것이다. 그 정책들이 현재에도 주택 가격의 엄청난 거품형성과 강력한 하방경직성 원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 더구나 코로나 19 사태, 연일 쏟아져 나오는 글로벌 경기 위축 기사들은.. 더보기
대한민국 최대최고의 적폐,공무원연금,공무원연금개혁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주요 국정과제로 삼은 것이 바로 적폐 청산이다.적폐, 오랫동안 쌓여온 폐단이다. 그 폐단의 중심에는 부정부패가 있다. 그 부정부패는 우리 사회 구석구석에 쌓여있어 이루 말할 수가 없다. 그 하나하나를 척결하는 것도 엄청난 노력과 용기 그리고 시간이 필요하다 생각한다. 적폐란 권력을 휘두르는 것만이 아니다. 그 오랫동안 쌓여온 폐습에는 반드시 금전적 이득이 있음을 볼 수가 있다. 정경유착이나 관료와 재벌이 유착에서도 공연히 관료가 재벌의 뒤를 봐주는 것이 아니다. 반드시 대가가 있다. 그리고 그 대가는 금전의 이익이 대부분이다. 문재인대통령이 야심 차게 적폐 청산을 주장하고 있지만, 뭔가 개운하지 않은 면이 있다. 아직도 우리사회에는 뭔가 금기가 있는 것 .. 더보기
한일 무역전쟁, 일본의 무역보복에 대하여... 일본의 무역보복, 한일무역전쟁이 일어나고 있다. 그렇다면 그 무역전쟁의 승자는 누구인가? 아직은 승자도 패자도 드러나지 않아보인다. 한일간의 무역전쟁에 앞서 우리는 자유무역이라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의문에 답을 가질 필요가 있다. 물론, 필자는 그에 대한 답은 이미 지난 글에.. 더보기
미중 무역협상, 미중 무역전쟁, 미국의 보호무역과 세계경제....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점입가경,확대일로를 달리고 있다. 미국은 중국산 물품 2000억달러에 대해 25%의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결정을 내린데 이어 추가로 3000억달러 가량의 중국산 물품에 관세를 부과할 것을 예고하고 있다. 트럼프의 미국우선주의 트럼프 당선이후 미국은 미국우.. 더보기
관세폭탄,미중무역전쟁,미국의 보호무역주의의 말로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점입가경, 확대일로를 달리고 있다. 미국은 중국산 물품 2000억달러에 대해 25%의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결정을 내린데 이어 추가로 3000억달러 가량의 중국산 물품에 관세를 부과할 것을 예고하고 있다. 트럼프의 미국우선주의 트럼프 당선 이후 미국은 미국 우선주의 노선을 걷고 있다. 그 우선주의는 다양한 방면에서 시현되고 있는데, 이미 NAFTA 등 자유무역협정 탈퇴하고 있었다. 보호무역으로 관세 부과로 인한 무역전쟁을 불사하고 있다. 그뿐인가? 기후협약 탈퇴, 불법이민을 단속한다며 멕시코 국경에 방어벽을 세우고 있다. 또 있다. 우리나라에 미군 주둔비를 인상하라는 압박에서 보듯 미국의 필요에 의해 주둔하는 미군의 비용을 주둔국에 전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보호무역도 이번이 처.. 더보기
미중무역전쟁, 미국의 보호무역은 왜 확대되는가? 이미 게시했던 글이지만,.... 글 내용이 독자들이 어려울 것 같다. 좀 더 쉽게 부연설명하여 다시 게시합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점입가경,확대일로를 달리고 있다. 미국은 중국산 물품 2000억달러에 대해 25%의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결정을 내린데 이어 추가로 3000억달러 가량.. 더보기
문재인대통령의 대담을 보고... 문재인대통령이 집권 2기를 넘어 3기로 가는 시점에서 기자와의 대담을 가졌다. 그 대담은 과거 노무현대통령시절 보아왔던 검사와의 대화를 연상케 하고 있다. 사전에 기자와 각본을 짜는 등 준비되지 않은 질문은 아니었던 것이라는 것을 읽을 수있었다. 물론, 크게 분야별로는 선택되어있을 수 있다. 그러나 허심탄회한 대담에서 문재인대통령의 소신과 성향, 그리고 인품을 느낄 수있는 대담이었다. 그런데, 그 대담에서 문재인대통령 보다 더 뉴스를 타는 인물이 있으니, 그 대담을 맡았던 신형정이다. 그 기자의 질문태도가 우리를 분노케하고 있다. 과연 그렇게 밖에 할 수가 없었나? 대통령의 면전에서 독재자라는 등 독설은 물론이거니와 인상을 쓰며 말을 자르고, 취조하는 듯한 행동은 분명 잘못된 태도라고 본다. 기사를 쓰는.. 더보기
금리, 금리인하논란과 부동산 시장 등에 대하여... 금리논쟁이 일고 있는 것 같다. 그동안 지속적인 금리인상을 하고 있던 미국의 금리인하설과 “국제통화기금(IMF) 조사단과 아세안(ASEAN)+3(한중일)의 거시경제조사기구(AMRO)도 한국은 통화정책을 완화적 기조로 가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는 등정부의 경제수장인 홍남기의 금리인하 뉘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