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계부채

금리인상,재정금융정책,DSR,DTI, LTV,대통령지지율,원희룡, 추경호,기타등등 중앙은행의 기준금리는 경제조절변수 중앙은행의 금리는 고리대부업자인 은행의 수입을 담보해 주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금리의 변화로 경제의 흐름을 조율하는 경제조절변수다. 그 금리변동자체로 주택시장 등 자산거품의 통제내지 완화가 가능하다. 금리변동, 기준금리를 올리면, 시중은행의 대부금리가 상승하고, 그 상승한 대부금리로 인하여 주택시장 등 자산거품, 즉 인플레가 완화된다. 그 경로에 대해서는 필자의 이전글 보기를 하면 알 수 있다. 금리가 어떤 작용을 하게 되는지... 스태그플레이션 양상국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민간유동성 고금리, 고환율, 고물가, 고실업률 그 상황에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인플레이션을 거꾸로 돌리는 디플레이션은 어렵다. 미국은 지금 인플레이션률 완하 정책을 구사하고 있는 것.. 더보기
가계부채와 스테그플레이션 등.... 가계부채를 잡겠다고 금리를 인상하고 정부재정으로 이자장사를 하며 민간에는 대출규제를 한다면, 민간의 영역은 어떻게 될까? 극심한 양극화 국면과 코로나19의 리스크에서의 스테그플레이션........ 코로나19로 인한 재난지원금 지급 등으로 유동성 범람과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국제유가 등 원자재가격 상승은 외부 작용에 의한 물가상승 국면이다. 그에 미국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 물가가 폭등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경우 이미 오랜 고질병이 되어버린 다포세대, 세계최고의 자살률, 세계최저의 출산율 등 극심한 양극화와 내수파탄의 상황에서 물가가 상승하고 금리인상을 하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 극심한 소득의 불균형의 사회에서 물가상승과 금리인상은? 그동안 한국의 경제관련 정책들을 뜯어보면, 특히, 문재인정권.. 더보기
정부의 가계부채 대책을 보고.... 가계부채가 증가한다며 가계부채 대책을 내놓고 있는 것 같은데, 그 내용을 보니, 참 황당하고 우려의 감을 지울 수가 없다. 우선 총부채상환비율DSR을 40% 이하로 한다하고 또 청년층 등에는 특별규정을 두고 있는데, 참 복잡하다. 마치 24번의 부동산 정책처럼.... 그리고, 그러한 조건은 근로소득자, 그리고 그 직업의 안정성과 밀접하여 공무원에 가장 유리한 조건으로 보인다. 신용도의 평가로 인하어 직업의 안정성, 소득의 일관성은 바로 유동성, 화폐자산으로 치환될 수 있기때문이다. 더욱이 청년들에게는 장래 소득을 반영한다 하는데, 그 장래소득, 솔직히 철밥통 공공부문 종사자 외에는 그 장래소득이란 용어 자체가 불확실성을 내포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DSR 총부채상환비율 등 가계대출대책에 대해 생각나는 대로.. 더보기
미중 무역협상, 미중 무역전쟁, 미국의 보호무역과 세계경제....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점입가경,확대일로를 달리고 있다. 미국은 중국산 물품 2000억달러에 대해 25%의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결정을 내린데 이어 추가로 3000억달러 가량의 중국산 물품에 관세를 부과할 것을 예고하고 있다. 트럼프의 미국우선주의 트럼프 당선이후 미국은 미국우.. 더보기
미중무역전쟁, 미국의 보호무역은 왜 확대되는가? 이미 게시했던 글이지만,.... 글 내용이 독자들이 어려울 것 같다. 좀 더 쉽게 부연설명하여 다시 게시합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점입가경,확대일로를 달리고 있다. 미국은 중국산 물품 2000억달러에 대해 25%의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결정을 내린데 이어 추가로 3000억달러 가량.. 더보기
문재인대통령의 대담을 보고... 문재인대통령이 집권 2기를 넘어 3기로 가는 시점에서 기자와의 대담을 가졌다. 그 대담은 과거 노무현대통령시절 보아왔던 검사와의 대화를 연상케 하고 있다. 사전에 기자와 각본을 짜는 등 준비되지 않은 질문은 아니었던 것이라는 것을 읽을 수있었다. 물론, 크게 분야별로는 선택되어있을 수 있다. 그러나 허심탄회한 대담에서 문재인대통령의 소신과 성향, 그리고 인품을 느낄 수있는 대담이었다. 그런데, 그 대담에서 문재인대통령 보다 더 뉴스를 타는 인물이 있으니, 그 대담을 맡았던 신형정이다. 그 기자의 질문태도가 우리를 분노케하고 있다. 과연 그렇게 밖에 할 수가 없었나? 대통령의 면전에서 독재자라는 등 독설은 물론이거니와 인상을 쓰며 말을 자르고, 취조하는 듯한 행동은 분명 잘못된 태도라고 본다. 기사를 쓰는.. 더보기
금리, 금리인하논란과 부동산 시장 등에 대하여... 금리논쟁이 일고 있는 것 같다. 그동안 지속적인 금리인상을 하고 있던 미국의 금리인하설과 “국제통화기금(IMF) 조사단과 아세안(ASEAN)+3(한중일)의 거시경제조사기구(AMRO)도 한국은 통화정책을 완화적 기조로 가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는 등정부의 경제수장인 홍남기의 금리인하 뉘앙.. 더보기
금리,금리인하 논란 그리고 부동산 시장 등에 대하여....로또당첨번호 금리논쟁이 일고 있는 것 같다. 그동안 지속적인 금리인상을 하고 있던 미국의 금리인하설과 “국제통화기금(IMF) 조사단과 아세안(ASEAN)+3(한중일)의 거시경제조사기구(AMRO)도 한국은 통화정책을 완화적 기조로 가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는 등정부의 경제수장인 홍남기의 금리인하 뉘.. 더보기